연예전문지 마이스타 입니다 기사 본문을 마우스로 드래그 후 스피커 아이콘을 누르면 음성으로 들으실 수 있습니다   Click to listen highlighted text! 연예전문지 마이스타 입니다 기사 본문을 마우스로 드래그 후 스피커 아이콘을 누르면 음성으로 들으실 수 있습니다
다큐멘터리톱기사한국영화

해외입양인 돌아오지 말라?

다큐멘터리 영화 케이 넘버 스틸컷

1974년 8세(추정) 때 미국으로 입양된 김미옥 씨는 백인사회에서 ‘미오카’라는 이름으로 살아왔다.

양부모는 그녀를 좋아하지 않았다. 그래서 입양 신고도 수십 년 동안 하지 않았다.

미옥 씨처럼 입양 신고를 하지 않아 미국인도, 한국인도 아닌 채로 살아가는 입양인이 2만 명에 달한다고 한다.

얼마 전에야 자기가 미국 시민이 아닌 걸 안 그녀는 변호사를 통해 미국 시민권을 취득했다.

그리고 친부모를 찾기 위해 한국을 찾아왔다. 그러나 그녀의 해외입양을 알선한 입양기관에서 제대로 된 정보를 주지 않아 쉽지 않다.

중요한 정보는 가린 채로 건네받은 서류를 근거로 고향으로 추정되는 곳에 가서 주민들도 만나보고, 행정복지센터도 찾아가 보지만 아무 도움이 되지 않는다.

그래서 그녀는 혹시 입양인이 찾아올 때를 대비해서 따로 (가짜로) 만든 서류가 있는 게 아닌가 의심한다.

그도 그럴것이 우리나라 해외입양의 역사를 생각해 보면, 억측(臆測)도 아니다.

한국전쟁 이후, 이승만 정부는 해리 홀트와 손잡고 혼혈아동을 미국으로 ‘수출’하는데 열을 올리며 해외입양이 시작됐다.

한국에서 혼혈인이 살기 힘드니 미국으로 입양 보내라고 강권하고, 심지어 납치도 했다고 한다.

세월이 흘러 박정희 정부는 해외입양이 돈이 된다는 걸 인식하고, 더 적극적으로 아이들을 해외로 내보냈다.

그 과정에서 해당 아동의 본적은 물론 입양부모에 관한 서류까지 조작했다.

거액의 돈을 받고 해외로 내보낸 아동이 나중에라도 다시 돌아오지 않길 바란 게 아닌가 싶다.

또, 전두환 정부 때는 국보위 위원인 김한규를 홀트 회장으로 보내고, 사회정화위 위원 2명을 홀트 감사로 보내 삼청교육대, 형제복지원과 더불어 홀트를 ‘사회정화’ 수단으로 이용하기도 했다.

조폭, 장애인, 고아 등은 우리 사회에서 없애야 한다는 인식이 깔린 정책이었다.

또 윤석열 대통령은 2023년 헤이그아동협약에 가입해 입양 관리를 국가가 하겠다고 했지만, 결국 가입하지 못했다.

여전히 국가나 지방정부가 아닌 민간기관이 입양을 관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큐멘터리 영화 <케이 넘버>는 해외로 입양간 이들에 대한 이야기를 그린 작품이다.

입양인들은 부모를 찾아보고 싶어하지만, 제대로 된 정보가 남아있지 않아 쉽지 않은 게 현실이다.

또, 많은 입양인들이 자기가 버림받았다고 생각한다.

스웨덴으로 입양 간 선희 씨는 2019년 코로나19 직전 해외입양인의 삶을 그린 <포겟 미 낫>이라는 영화를 선보였는데, 그녀는 입양인들이 한국 여성은 아이를 쉽게 버릴 수 있다고 생각하는 이유가 백인의 생각이 깃들어서라고 지적한다.

물론 실제로 버림받은 사람도 있겠지만, 피치 못할 사정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자식을 해외로 떠나보낸 이도 많을 것이다.

케일린 씨는 2018년 처음 생모를 만났고, 이후에 또 생모를 만나러 한국에 왔다.

생모는 케일린 씨와 같이 밥도 먹는 등 만나긴 했지만, 미안한 마음에 다시는 보지 않았으면 한다고 말한다.

다큐멘터리 영화 <케이 넘버>는 14일 개봉한다.

/마이스타 이경헌 기자

답글 남기기

Click to listen highlighted t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