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전문지 마이스타 입니다 기사 본문을 마우스로 드래그 후 스피커 아이콘을 누르면 음성으로 들으실 수 있습니다   Click to listen highlighted text! 연예전문지 마이스타 입니다 기사 본문을 마우스로 드래그 후 스피커 아이콘을 누르면 음성으로 들으실 수 있습니다
외국영화톱기사(우측)

생존 확률 1% 우주인의 선택은?

영화 프리 폴 스틸컷

광활한 우주는 인간의 발길이 닿지 않은 미지의 영역으로, 상상 불가능한 현상들이 잠재 된 공간으로 인식된다.

때로는 경이로움을, 때로는 아름다움을 선사하며, 다채로운 별빛은 신비함을 더한다.

미지의 공간이기에 더욱 깊은 호기심을 자아내는 곳이기도 하다.

러시아 SF 스릴러 영화 <프리 폴>은 이처럼 아름답고 신비로운 우주 공간이 한순간 생사를 넘나드는 극한의 위험 공간으로 돌변하는 상황을 그린다.

우주정거장 근무자인 막심은 임무 수행 중 예기치 않은 강력한 태양 폭발에 직면해 긴급 귀환 명령받는다.

그러나 정거장으로 향하는 시간마저 부족한 절박한 상황 속, 막심은 패널 뒤로 몸을 숨기려다 예상치 못한 충돌로 상처를 입는다.

설상가상으로 방사선 피폭까지 더해져 그의 생존 확률은 극도로 희박해진다.

태양 폭발로 인해 지구와의 통신마저 끊어진 가운데, 우주정거장의 인공지능 시스템인 안야만이 그가 유일하게 의존할 수 있는 존재가 된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지구로 향하던 구조 우주선마저 우주정거장 패널과 충돌하며 상황은 더욱 악화한다.

막심은 실낱같은 1%의 생존 가능성에 모든 것을 걸고, 안야의 도움을 받아 광활한 우주 공간을 가로지르는 처절한 사투를 시작한다.

영화는 압도적인 우주 공간 속에서 동료들과 여유로운 농담을 나누던 막심이 갑작스러운 태양 폭발로 인해 순식간에 위기에 처하는 극적인 대비를 통해 자연재해 앞에서 인간의 무력함을 여실히 드러낸다.

그러나 생존 확률 1%라는 희망은 막심에게 강렬한 생존 의지를 불어넣는 동력이 된다.

이는 아무리 절망적인 상황일지라도 희망을 잃지 않고 노력한다면 예상치 못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보편적인 메시지를 전달한다.

절망과 고독 속에서 안야의 존재는 막심에게 큰 위로와 지지가 되어준다.

이는 인간의 인공지능에 대한 의존성이라는 간과할 수 없는 문제를 제기하는 동시에, 위기 상황에서 AI가 긍정적인 조력자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동료들과의 단절로 인한 극심한 외로움 속에서도 AI 안야와의 소통을 통해 막심은 위기를 극복해 나간다. 이는 극한 상황에서 타인과의 소통이 얼마나 강력한 힘을 발휘하며, 생존 의지를 다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를 보여주는 대목이다.

거침없는 우주를 배경으로 오직 생존을 위한 처절한 사투를 그린 영화 <프리 폴>은 오는 21일 관객들에게 극한의 긴장감과 함께 묵직한 메시지를 전달할 예정이다.

/마이스타 박선영 기자

답글 남기기

Click to listen highlighted text!